Written by
admin
on
on
구슬픈 밤, 잠들지 못한 눈들을 위한 진혼곡 – 밤은 노래한다, 김연수, 2008
<a href=”http://submania.dothome.co.kr/wp-content/uploads/1/nk3.mp3” 05. Romance- Yuhki Kuramoto.mp3 />nk3.mp3</a>
<DIV class=ttbReview>
| <IMG alt="" src="http://image.aladdin.co.kr/cover/cover/8932019002_1.jpg" border=0> |
</DIV>
**<FONT color=#112a75>이 노래가 머릿속에서 울려
</FONT>**
<밤은 노래한다="">를 읽고, 김지운 감독의 <달콤한 인생="">이 떠올랐다.
희수(신민아)의 첼로 연습장에 다가갔을 때, 이병헌이 느꼈을 그 따뜻함. 그 느낌이 자꾸만 생각난다.
김해연이 이정희를 만났을 때가 그렇지 않았을까?
> 그렇게 정희가 웃었다. 눈썹이 반달 모양으로 휘어지고, 볼이 둥그래지면서 얼굴이 환했다. 그런데도 내가 할 수 있었던 일이라고는 그저 손을 뻗어 정희의 손을 만지는 일, 정희의 손을 만지고 또 만지는 일, 그래서 정희에게 ‘”내 손이 그렇게 좋아요?”라는 물음을 듣는 일. 맞아요. 당신 손이 그렇게 좋아요. 남경의 소년이었다면 그 때 내 눈을 보고 그런 말을 읽었을지도 모른다(p.41).
>
> 나는 햇살이 눈부시도록 환한 오월의 영국더기에 정희와 함께 앉아 있다. 우리는 막심 고리키의 <데츠트보>에 대해, 니콜라예프스키 항의 풍경들에 대해, 일상적으로 하는 업무나 직장의 동료들의 특이한 행태에 대해, 혹은 더 할 말이 없으면 괴테의 소설이나 기타하라 하쿠슈의 시에 대해 하염없이 나눈다. 아편에 취해 있을 때, 정희는 그때와 마찬가지로 내 눈앞에 살아 있다. 손을 뻗으면 그 살을 만질 수 있고 가까이 가면 향기를 느낄 수 있다(p.82).
>
> 경성우체국 앞 은행나무 그늘을 걸어가다가는 문득 용정에 남은 사람들에게 은행잎만큼의 사연을 엽서에 담아 보낼 것이며, 장곡천정(長谷川町)의 끽다점에 앉아 각설탕을 매만지며 영국더기 언덕에 앉아 그 무슨 얘기든 한없이 내게 중얼거리던 정희의 목소리가 얼마나 달콤했었는지 생각할 것이다. 바람이 달라지면, 그때마다. 설사 계절이 바뀌지 않더라도(p.141).
> </BLOCKQUOTE>
>
> 사람은 사랑을 하면서 변화하게 된다.
>
> > “여자부터 우선 사랑해보고 그 다음에 떠들어라. 내가 너라면 만철 따위를 위해 측량 같은 건 하지 않는다. 잘 둘러봐, 여기서 조금만 나가면 광야야. 광야가 뭔지 알아? 자신을 하찬게 여기는 것을 도저히 참을 수 없는 자들이 머무르는 곳이지. …..”(p.25)
> >
> > 나카지마는 눈을 감고 하이네의 시를 읊었다.
> >
> > <FONT color=#0686a8>**어떻게 너는 아무렇지도 않게 잘 수 있니.
> > 내가 아직 살아 있음을 너는 알겠지?
> > 옛날의 분노가 다시 찾아오면,
> > 나는 나의 멍에를 때려 부수겠어.</p>
> >
> > 너는 그 옛 노래를 알고 있니?
> > 그 옛날 한 죽은 소년이
> > 한밤중에 사랑하는 여인을
> > 제 무덤 속으로 불러들였다는 노래 말야
> >
> > 내 말을 믿어줘, 너 참으로
> > 아름다운 나의 사랑아,
> > 나는 아직 살아 있고, 모든
> > 주검들보다 훨씬 힘이 세지!</STRONG>
> > </FONT>
> > “그렇다면 나도 사랑이란 걸 한번 해보죠.”
> > 그 말에 나카지마가 한쪽 눈을 치켜떴다가 다시 감았다.
> > “그건 네 인생을 완전히 바꿔놓을 거야.”
> > (pp.26-27)
> > </BLOCKQUOTE>
> > 그냥 그럭 저럭 식민지에서 먹고 살만했고, 필요에 의해서 ‘심장의 떨림’ 없이 살아왔던 김해연은 ‘이정희’라는 여자 때문에 전혀 다른 삶의 굴곡을 겪게 된다.
> >
> > 오다기리조가 나온 영화 <유레루>을 떠올려 본다.
> > <A href="http://flyinghendrix.tistory.com/45" target=_blank>2008/01/28 – [Reviews/Films] – 형을 만나러가자! (유레루, 2006)</A>
> >
> > <유레루>에서는 자신과 살을 섞었던 여자가 다리 밑에서 떨어진다.
> >
> >
> > 자신과 엇그제 까지 살을 섞었던 여자의 자살. 그 때 드는 상실감을 알 수 있을까? 어제까지의 그녀의 체취와 그녀의 눈동자에 맺혔던 상과, 그녀의 콧김을, 그리고 그녀의 몸 뒤척임이 느껴지는데.. 그녀는 죽었다. 그 상실감. 과연 알 수 있을까? 난 생각만 해도 몸서리가 쳐지는데, 겪었을 때란…
> >
> > 김해연의 1년에 이어지는 먹먹함으로 인한 실어증과, 아편중독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 >
> > <달콤한 인생="">에서 이병헌이 하는 말 “다시 한 번 말해봐요.” “나한테 왜 그랬죠?”
> >
> >
> > 김해연 역시 자신을 ‘사랑’이라는 덫을 통해서 바꿔버린 남자들에게 그 질문을 한다.
> >
> > > “정희가 죽은 뒤, 나는 항상 사람을 죽이면 어떤 기분일까 궁금했지. 나도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될까? 가령 필요하다면 친구의 머리에도 총을 쏠 수 있는, 그런 종류의 인간이 될 수 있을까? 자신의 이사을 위해 사랑하는 여자가 죽어가는데도 외면하는, 그런 일을 할 수 있게 되는 걸까? 그런 게 늘 궁금했어. 다들 세상은 그런 곳이라고 말했으니까. 누군가를 죽여보며 그 사실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으니까. 이제 좋은 기회가 왔는데, 그런 기분을 느껴볼 틈도 없이 죽을 것 같네. 사람을 죽이면 어떤 기분일까, 궁금할 때마다 내가 떠올린 사람은 당신이었지. 지금 마음에 드는 건 그거 하나뿐인데, 어떡할까? 당신으로도 부족할 것 같아서 말인데. 그게 못내 아쉬워.”(p.302)</BLOCKQUOTE>
> > >
> > >
> > > 달콤한 인생에서 희수가 켜던 첼로소리의 Romance가 귀에서 맴맴 거린다.
> > >
> > > 이정희에게 김해연이 사랑이었냐는 질문을 하게 된다. 김해연은 그 물음 때문에 죽지 못하고, 그 물음 때문에 멈추지 않는 성장을 하지만. 그 때문에 또한 마음 한켠은 황폐해 있었다.
> > >
> > > 1920년대의 안세훈, 박도만, 최도식, 이정희의 평우동맹의 수단으로써, 도구로써, 일본군의 정보를 염탐하기 위해서 동원된 것 아니었냐는…
> > >
> > > 하지만, 그것들이 중요한 것이었을까? 어쩌면 더 중요한 건 ‘그녀에게 난 무엇이었냐?’이기도 하지만, ‘나한테 그녀녀는 무엇이었냐?”도 중요하지 않을까? 김연수는 후자의 손을 등러주지만…
> > >
> > >
> > >
> > >
> > >
> > > > “그건 댁네 때문이었습지. 이정희가 댁네에게 죄다 덤터기를 씌우고 그날 박길룡을 따라 유격구로 들어갔으믄 아무 일이 없었겠스꼬마. 긴데 그리하지 않겠노라고 버텼습지. 내가 찾아갔을 때는 이미 약을 먹고 죽어가고 있었소.”(p.316)
> > > >
> > >
> > >
> > > **<FONT color=#112a75>‘빠진 고리’ 채우기 – 김연수의 작업
> > > </FONT>**
> > > 김연수의 소설이 좋아지는 중이다. 사실 읽다보면 불편하고, 먹먹할 때가 있다. <사랑이라니, 선영아> 정도가 즐거운 ‘잽’을 날리는 소설이었다면,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을 읽었을 때 왔던 ’91년 5월’의 답답한 정서. 절대 지지 않았을 학생운동의 불패신화가 깨졌을 때의 전대협 세대의 상실감. 이런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소설이기에, 그 불편함은 남아있었다.
> > >
> > > 내가 그 시대를 체험하지 않았지만, 나를 그 시대까지 강하게 추인해주었다.
> > >
> > >
> > >
> > >
> > > <DIV class=ttbReview>
> > >
> > >
> > > | > > > <IMG alt="" src="http://image.aladdin.co.kr/coveretc/book/coversum/895460398x_1.jpg" border=0> > > > | > > > > > >
| > > > <IMG alt="" src="http://image.aladdin.co.kr/coveretc/book/coversum/8972883336_1.jpg" border=0> > > > | > > > > > >
| > > > > <IMG alt="" src="http://image.aladdin.co.kr/coveretc/book/coversum/8936471430_1.jpg" border=0>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