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불어야 할 영성의 향기, 한국 개신교의 ‘오래된 미래’ – 조현, <울림>

울림8점
조현 지음/시작

 

 2007/12/31 – [Book Reviews/Theology] – 스물 여섯살의 마지막에 처음 읽은 예수 이야기(이현주, <예수의 삶과="" 길="">, 2006)</a>
2008/01/05 – [Book Reviews/Theology] – 장공 김재준을 만나다.
2008/01/05 – [Book Reviews/Theology] – 그리스도인과 사회의 관계 맺음에 대해서 – (이현주, <그리스도의 몸="" 교회="">, 2006)</a>
2008/01/09 – [Book Reviews/Theology] – 우리는 무엇에서 탈출하는 가? – 이현주, <탈출의 하나님="">, 삼인, 2006</a>
2008/01/14 – [Book Reviews/Theology] – 예수에 대한 상식을 전복하기 (존 도미닉 크로산, <예수>, 한국기독교연구소, 2007)</a>
2008/01/14 – [Book Reviews/Theology] – 한국의 선교에 대한 포괄적 비판(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무례한 복음="">, 산책자, 2007)</a>
2008/01/16 – [Book Reviews/Theology] – 반제국주의 민중운동가 예수 – (리처드 호슬리, 김준우 옮김, <예수와 제국="">, 2004, 한국기독교연구소)</a>
2008/01/21 – [Book Reviews/Theology] – 생동하는 대안적 신학을 위하여 – (김진호, <반신학의 미소="">, 삼인, 2001)</a>
2008/01/22 – [Book Reviews/Theology] – ‘분노한’ 신학자의 한국기독교 읽기
2008/01/22 – [Book Reviews/Theology] – ‘당신들의 예수’는 세상에 없다 – (오강남, <예수는 없다="">, 2003, 현암사)</a>
2008/01/23 – [Book Reviews/Theology] – 병리적 현상으로서의 한국 교회
2008/02/19 – [Reasoning] – 나의 기도 </td> </tr> </table>

 어렸을 때 그런 말들을 동무들과 주고받곤 했었다. “너 교회 다닌다면서 그래도 돼?” 그 이야기를 들으면 마음 한 복판의 양심이라는 녀석이 불편해 생채기를 내곤 했고, “하나님한테 맹세해?”라는 말이 무서워 거짓말을 못했던 적이 있다. 요즘 어린이들에게 그 질문을 하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아이같은’이라는 말이 주는 맑는 느낌을 온전히 잃어버린 것은 아닌데, 매일 매일 동무들과 경쟁을 하면서 ‘옆집 친구’보다 잘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유치원부터, 아니 심지어 그 이전부터도 느껴야 하는 어린이들에게 그 말이 얼마나 의미가 있을까 하는 부정적인 생각들을 떨쳐낼 수가 없다. 매주 설교 말씀을 듣고 한주의 죄를 씻었다고 믿는 엄마 아빠의 아이들은 좀 다를까? 날이 갈 수록 자꾸 회의적이 되어간다.

 게다가 어린이들 말고, 어른들의 이야기로 돌아가서 어른들의 말로 “기독교인의 도덕성”을 갖고 이야기를 하려고 하면, 연거푸 씁슬함에 담배를 한 대 물게 된다. 물론 나에게 “너도 교회다니냐?”라는 말은 아프다. 그래서 어느 날부터는 ‘예수쟁이’에 대해서 욕을 퍼붓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전부다 그런 건 아니다”라는 궁색한 변명을 포기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어떤 날은 나도 동조해서 같이 ‘개독교’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자학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내가 믿는 하나님(아니면 신이든)에 대한 생각이, 그리고 내가 생각하는 청년 예수의 모습이 어떠하였든 한국의 기독교는 언제나 내게 있어 흉물스럽게 커버린 괴물과 같은 모습이었다. 그래서 난 한편으로는 가장 급진적인 예수의 모습이 내뿜는 사자후에 집착해있었지만, 동시에 ‘마음의 풍요로움’이라는 문제에 대해서 정리하지 못해 그냥 놓아버리곤 했다. 사회 시스템이 바뀌지 않으면 아무것도 되지 않으리라 생각하고, 그게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리고 다른 이야기들은 “난 그 부분에 특별히 관심이 없어요”라고 하면서 덮어버렸다.

조현의 블로그(http://well.hani.co.kr)

 한겨레 기자 ‘조현’의 <울림>을 붙잡고 읽는다. “우리가 몰랐던 이 땅의 예수들”이라는 부제가 눈길을 잡아끌었다. “예수천국! 불신지옥!”의 이분법이 싫었던 것은 ‘예수를 믿는 것’보다 더 어려운 것이 ‘예수를 따르는 것’이라는 것, 그리고 하나님 나라라는 것을 ‘사후세계’로만 돌려놓고 이 세계의 모든 악을 외면해버리고, 덩달아 ‘권세’에 도전하지 않고 있는 현실 때문이었다. 조현이 만났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을 때, 처음에는 도그마로 가득차 있는 근본주의자들의 ‘신학’을 부숴버렸던 신학자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게 되었다가, 나중에는 결국 ‘세상’과 마주쳐서 ‘예수처럼’ 살았던 이들의 ‘삶의 결’이 담긴 한 마디 한 마디에 귀기울이게 되었다. 이 책을 관통하는 이야기는 바로 민중이든 씨알이든 가장 억눌려 있는 사람들의 주위에서 떠나지 않았던 예수의 삶을 본받으려 했던 그 모습에 관한 거다. ‘예수를 믿는 것’보다 ‘예수를 따르는 것’. 어느 순간 증발해버린 교회의 높고 높아 다다를 수 없는 십자가가 생각이 났다. </p>

나는 죽어서 가는 천당, 생각하고 싶지 않다. 사는 동안만이라도 서로 따뜻하게 사랑하며 살아가야 하지 않겠는가? (권정생, pp.29-30)

이 세상이 이나마 살 만한 것은 이처럼 소리 없이 빛도 없이 자신의 몸으로 걸레의 삶을 살아가는 생명들이 있기 때문이다. …… 이 걸레를 바라보면서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것이 있다. 십자가였다. 십자가 역시 누군가가 짊어져야 십자가이지, 짊어지지 않는 십자가는 나무토막에 불과하다. 그렇구나. 십자가야말로 이 세상의 걸레이구나. (채희봉, p.44)

 이 땅에서 그리스도에 대한 고백을 하고, 하나님의 나라를 구하고 있는 이들이 있다는 것은 이런 ‘걸레’들이 있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현재의 ‘사는 동안’, 삶을 통해서 예수를 보여준 이들 때문이 아니었을까? 예수를 닮으려 노력했던 이들의 영성의 향기가 주위의 사람들에게 스며들었던 건 아닐까? 그리고 이들이 ‘삶’으로 예수를 보여주려 했던 그 때야말로 우리가 다시 찾아야 할 ‘오래된 미래’는 아닐까?

 여전히 부흥해야 한다고 악을 쓰고, 십일조를 떼어먹으면 하나님의 곳간을 도둑질 한 거라고 소리지르는 ‘천국’을 ‘강매’하는 목소리와, 단군의 목을 쳐버리고, 성조기를 흔들면서 ‘적대’의 신앙을 몸소 보여주는 이들의 악취가 뒤덮어버린 지금. 어쩌면 모두에게 필요한 건 굳건한 ‘신앙’의 재건보다, 아름다움을 볼 수 있고, 느낄 수 있는 ‘삶’의 여유의 회복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 본다.

 ‘마음의 풍요’에 대해서 생각해보면서, ‘영성의 향기’를 떠올리면서 책을 덮었는데, 창문 밖의 빨간 십자가 공동묘지가 결국 마음을 불편하게 한다. 다시 한 대 불을 붙인다. </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