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 목포 여행 – 목포 근대 역사관

 2009/03/09 – [Culture/Travel & Play] – 지리산 / 목포 여행 – 목포 갓 바위
2009/03/09 – [Culture/Travel & Play] – 지리산 / 목포 여행 – 지리산 노고단
2009/03/09 – [Culture/Travel & Play] – 지리산 / 목포 여행 – 목포 해안 도로에서
2009/03/09 – [Culture/Travel & Play] – 지리산 / 목포 여행 – 목포 바다
2009/03/09 – [Culture/Travel & Play] – 지리산 / 목포 여행 – 태백산맥 문학관

2009년 2월 14일, 전날 장흥에서 먹은 쇠고기 때문에 힘들어서 술도 못마신 덕택에 아침부터 쌩쌩했다. 서울로 바로 상경하려다가 목포 근대역사관을 들렀다.

역사를 바라볼 때 그런 게 있다. 나 역시 ‘식민사관’에 반대하고, 뉴라이트의 역사관을 이해할 수가 없다. 그러면 단순하게 내가 ‘민족사관’에 동의하는 것이냐? 그렇지 않다. 난 ‘민족사관’에도 동의하지 않는다. 민족사관은 언젠가 학부 수업 때 신복룡 교수에게 들었지만, 너무나 ‘비분강개’의 정서에 국한되어있고, 당시를 바라봄에 있어서 ‘수탈’의 역사와 ‘억압’의 역사만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그런 식이라면 유럽에서 이탈리아를 제외한 국가들은 로마제국의 ‘착취’에 대해서만 이야기해야하는 것일까? 오로지 최초의 ‘식민지’를 경영한 국가라고 해서?

한국근현대사 논쟁이 자꾸 뉴라이트에게 공이 가는 이유가 있다. 그것은 물론 한편에서 ‘보수’진영이 의도적으로 밀어주는 탓도 있겠지만, 동시에 진보진영이 쌔빠지게 하는 이야기래봐야 “그럼 넌 식민지에 동의하냐?”식의 감정선의 도출들이기 때문이다. 차분하게 바라보고 비춰줘야 한다.

작년 한 때 모던뽀이에 열광했었다.

 2008/12/11 – [Book Reviews/Liberal Studies] –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김진송, 현실문화연구
2008/12/05 – [Book Reviews/Literature] – 모던 뽀이 구보 성장기 in 서울 – 2
2008/12/05 – [Book Reviews/Literature] – 모던 뽀이 구보 성장기 in 서울 – 1
2008/11/28 – [Book Reviews/Literature] – 김연수가 본 김해경의 ‘이상’되기
2008/10/30 – [Book Reviews/Liberal Studies] – 20년대에는 모두다 망국의 한에 울었을까? – 권보드래, <연애의 시대="">, 현실문화연구 – ②</a>
2008/10/30 – [Book Reviews/Liberal Studies] – 20년대엔 모두다 망국의 한에 울었을까? – 권보드래, <연애의 시대="">, 현실문화연구 – ①</a>
2008/10/28 – [Book Reviews/Literature] – 모던 보이의 ‘모던한’ 사랑하기? – 이지민, 모던보이, 문학동네, 2008 </td> </tr> </table> 당시에 지금 문화를 오히려 견인해갈 만한 새로운 ‘문화적 운동’들이 많이 있었고, 그 당시의 문인들을 통해, 예술가들을 통해 우리는 새로운 자양분을 얻을 수 있다. 역사는 양면을 모두 볼 수 있어야 한다. 목포의 <목포근대역사관>의 풍경은, 그 양면을 보여줄 수밖에 없지만, ‘민족사관’에 함몰되어버려, 일제 시대의 착취상을 보여주는 소재들로 편성이 되어있다.  2층의 역사관은 순전히 ‘정신대’, ‘징용’, ‘737부대’가 화두였고, 마침 역사관을 설명해주는 어떤 아저씨의 “일본놈들이!!!”하면서 역정을 내시는 모습을 보면서, 이해가 되면서도 ‘이제는, 좀 달라야 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멈추지 않았다. 그리고 ‘고종’을 이야기할 때, 그들이 과연 무엇을 바라는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들 때가 있다. 그러면 당시 ‘왕정복고’라도 해야했다는 말일까? ‘민주주의’를 그렇게 주창하는 사람들조차 ‘500년 왕조’의 몰락에 눈물 짓는다. 물론 강제로 식민치하로 들어간 것에 대해 나 역시 분개하고, 일본에 대한 감정을 좋게 먹을 수 없음을 이해한다. 하지만 늘상, 그 이야기로 돌아가서 “일본만 없었으면” 이라는 식의 논리는 지금까지도 이어져 “~만 없었으면”하는 ‘탓’ 놀음만 하닥 그치고, 현실에서 취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선택을 보지 못하게 한다. 그래도 드문드문 보이는 ‘근대도시’ 목포의 모습이 나를 매료시켰다. 근대 공출항 목포의 모습은 어때했을까? 그 안의 사람들은 모두 매일 눈물지으며 ‘식민’의 한을 마음 속에 아로새기고 있었을까? 그보다는 겨우 하루 살이 하는 사람들의 ‘살림걱정’이 먼저가 아니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