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이 아이들을 기억하시나요? – 이와쓰키 유카 외, 이영미 옮김, <나는 8살, 카카오 밭에서 일해요>, 서해문집, 2009
<DIV class=ttbReview>
<IMG alt="" src="http://image.aladdin.co.kr/cover/cover/8974833778_1.jpg" border=0> |
</DIV>
8살이 되었을 때 난 세상 무서운 게 없었다. 엄마가 말하는, 아빠가 말하는 모든 것들이 시시했고 그런 것 들쯤은 조금만 해보면 다 할 수 있는 일들이라고 생각했다. 난 동화속의 피터 팬처럼 하루하루를 살았다. 그런데 8살의 어느 날 내가 감당할 수 없는 세상이 내게 다가왔다. 비오는 날, 어떤 여자아이의 집에 놀러간 적이 있었다. 우산을 접고 그 집에 들어갔을 때 나는 기겁했다. 집 안에서는 그 아이의 엄마와 아빠가 물을 퍼내고 있었고, 그 집은 사람의 집이 아니었다. 태어나서 처음 판잣집을 본 것이었다. 집은 세 식구가 누우면 모두 끌어안아야만 할 것 같았다. 그 아이는 지금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그 아이는 언제까지 산타클로스를 믿었을까?
아이들이 있다. 한 아이는 “매일 아침 7시까지는 집안일을 하고, 그 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는 공을 꿰맸다. 하루에 세 개의 공을 꿰매는데, 하루의 품삯은 700원이다. 그 아이는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방에서 매일 공을 꿰매다가 결국 눈이 멀었다. 하지만 “눈이 안 보여도” 그 아이는 “더듬더듬” 공을 꿰맸다. 또 필리핀 마닐라에 사는 어떤 아이가 있다. 이 아이는 여덟 살 때 친구를 따라 동네를 다니다가 어떤 아줌마를 만난다. 그 아줌마는 일본인 아저씨들을 따라가라고 했다. 그 아이는 열한 살까지 성매매를 했다. 또 어떤 아이는 엄마가 아파서 빚을 갚기 위해서 집안에서 맞아가면서 일을 한다. 심지어 전쟁터에서 마약을 투약하고 총알받이로 끌려가는 아이들도 있다.
이런 아이들은 자신의 나이도 잘 모른다. “자신의 정확한 생년월일을 모르기 때문”이다. “태어났지만 존재하지 않는 사람”인 것이다.
아이가 아이답게 건강하게 자라는 것(요컨대 의무교육)을 방해하는 노동을 ‘아동노동’이라고 부른다. 이 숫자를 기억하자. 세계에 18살 이하의 아동노동자는 2억 1800만 명이 있다. 그리고 전 세계에서 학교에 못 가는 아이들이 1억 1500만 명이다. 아이들은 맞기 싫어서 일을 하고, 보고 싶은 TV도 못보고 책도 못보고 학교에 가서 친구도 만나지 못하고 있다. 그 아이들은 산타의 선물을 받았을까? 더 문제는 그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이다. 그렇게 자란 세계의 8억 6천만 명의 어른이 읽기와 쓰기를 못한다. 글도 못 읽고, 할 줄 아는 일은 단순 노동밖에 없는 그들이 자신의 삶의 결단을 조금이라도 원하는 방향으로 내릴 수 있을까? 그런 어른들은 가난하기 때문에 다시 아이들을 일하러 보내고 있다. 자신과 아이들을 노예처럼 만들고 있다.
물론 문제는 단순하지 않다. 아이들에 대한 동정이 그들을 당장 해방시킬 수 없다는 걸 잘 안다. 아프리카와 남부 아시아를 관통하는 빈곤의 맥락에는 서구의 자원에 대한 탐욕과, 곡물재벌 ‘카길’의 횡포 등 구조화된 모순 또한 깔려있다. 하지만 더 문제는 그들이 만들어낸 ‘핏자국’이 묻어있는 상품들에 대해 우리가 의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국사회의 끔찍함은 곧 이어 아이들의 노동을 소환할 기세이다. <나는 8살, 카카오 밭에서 일해요>는 어떤 썩 맘에 드는 답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동시에 여전히 뛰고 있는 사람들의 숨 가쁨이 느껴진다. 이 박동소리가 멈추면 어떻게 하나 하는 안타까움을 멈출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