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책 읽기와 책 사기 – 종각 영풍문고와 광화문 교보문고
엄마와 상관없이 책을 사러 내 스스로 가기 시작한 것은 중학교 2학년 때였다. 면목동에 살던 시절이니까 친구 녀석(아마 신준수나 양동경이었을 듯하다)과 함께 사가정 역 1번 출구에서 지하철을 타고 군자까지 간 다음, 5호선으로 갈아타고 광화문 역에 내렸다.
신준수라는 ‘천재’ 녀석. 학원의 선행학습이 아닌 집에서 혼자 골똘이 생각해보고 고3 수능에 나오는 모든 문제를 풀 수 있었던 녀석. 그 녀석 때문에 서점을 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중1 때 만났던 양동경이라는 녀석이 있었는데 그 녀석은 내게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개미>를 전해주었었다. 실은 <개미>를 다 빌려다 읽은 것처럼 그 녀석에게 말했는데 난 별로 재미가 없어서 읽다가 집어던졌다. 오히려 재미있게 읽은 책은 <타나토노트>였다. 죽기 직전의 가사상태를 여행하는 여행자들의 모습이 재미있었다. 그리고 당시에 서울대 수석으로 들어간 사람이 이문열 평역 <삼국지>를 10번 봤다고 하길래 10번을 나도 봤다. 그 이야기를 해 준 게 양동경이다. 신준수를 나는 우러러 봤고, 양동경은 내가 깔아봤다. 양동경보다는 내가 성적이 좋았으니까(양동경, 너 지금 뭐하고 사냐?).삼국지>타나토노트>개미>개미>
신준수는 도대체 쳐다볼 수 없는 전교 1등이었으니까. 신준수는 내게 하비 콕스의 <세속 도시="">를 중2 때 권했다. 그 때 만약 이 책을 이해하고 읽었다면 난 당장 교회를 때려쳤을 것이다. 하지만 그 때는 검은 것은 글씨이고 하얀 것은 종이이던 단계다(그 책을 막상 읽은 건 2007년이었다). 그런 신준수를 당시에 꺾어보겠다는 생각은 못하고 시샘만 줄창 해댔다. 신준수가 빌려주는 책은 악착같이 읽어보려 해도 읽을 수 없는 그런 책들이었다. 벽초 홍명회의 <임꺽정>은 좀 읽을 만 했다.임꺽정>세속>
여하튼 “책을 사러 간다”는 행위는 중2 때에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엄마가 사라고 한 것이나 사야할 것을 정해놓고 가는 것이 아니라 그냥 책 보고 책을 사기 위해서 가기 시작한 때, 15살이었다. 그 전에도 서점을 다니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동네의 <샬롬서점>은 내 단골 서점이었다. 서점 아저씨와 아줌마는 날샬롬서점>
매번 책 한 권 사고, 문제집 몇 권 사고 PC잡지(아마 <마이컴>이나
날 기억할 것이다. 면목 우체국 맞은 편 GS 25(당시에는 LG 25) 옆에 붙어있는 매캐한 술냄새가 항상 풍겼던
<요모조모> 옆에 있는 서점은 내 초등학교 시절과 중학교 1~2학년 때까지의 추억이 있는 장소이다. 지금은 그 자리에 <블루클럽> 남성 전용 미용실이 들어섰다. 벌써 15년은 지난 이야기니 말이다. 당시에 책을 사러 교보문고에 가는 기억은 언제나 KFC 치킨 버거 세트를 먹는 기억과 맞물려 있었다. 엄마가 준 3~5만 원 정도의 돈을 들고 책을 사고 만 원 정도 남겼다가 햄버거 세트를 먹으면서 음악이야기를 하는 것은 행복한 기억이었다. <푸른하늘>의 팬이었던 신준수와 서태지의 팬이었던 나는 어떤 대화를 나누었었는 지 잘 기억은 나지 않았지만 어쨌거나 햄버거를 먹으면서 음악 이야기를 하면서 창밖의 지나가는 사람들을 보는 우리는 교보문고의 갱지 색깔의 쇼핑백이 있었기에 우쭐댔었다. 집에 갈 때에도 개선장군 같은 모습이 되었다.
종각 KFC. 지금은 리모델링 중인데, 사진의 정중앙 자리에서 신준수와 떠들곤 했었다.
지금은 책을 읽기 위해 홍대를 많이 가고 거치는 과정으로 종로에 가곤 한다. 예전처럼 <라면하우스>에 자주 가는 일은 없어진 편인데 그래도 종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곳 중에 하나다.
내 책 읽기와 책 사기는 늘상 근처의 라면집과 같이 놀러갔던 친구와 KFC, 그리고 학교와 선배와 후배가 늘 엮여 있었다. 오늘도 영풍 문고를 쏘다니며 담배 한 대 물고 공상하다가 예전의 추억이 떠올라 써 본다.
라면하우스>라면>역사를>내>다시>다시>과학>고쳐쓴>고쳐쓴>푸른하늘>블루클럽>요모조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