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를 보았다 (2010)

악마를 보았다
감독 김지운 (2010 / 한국)
출연 이병헌,최민식
상세보기

몇 가지 최민식과 이병헌의 선들이 그려졌다. <달콤한 인생="">에서 이어지는 이병헌의 로맨틱하면서도 완전 무결한 무력. 이는 사실은 <달콤한 인생=""> 이전에 있었던 <누구에게나 비밀은="" 있다="">부터 내려온 캐릭터라는 생각도 좀 든다. 틈 없고, 늘 여성에게 자상하면서도 다른 한 편에서 진상같은 ‘마초’들을 캐발라버리는 ‘흑기사’로서의 이병헌.  <달콤한 인생="">에서는 그래도 피떡이 되어야 최종 Stage에서 ‘아버지’와 만나는 건데, 여기서는 아버지고 나발이고 필요없이 이미 한 명의 ‘언터처블’이 되어있는 이병헌이다.

다른 한 편 최민식은 <올드보이>의 RPG프로그램을 통해 단련된 체력과 <친절한 금자씨="">에서의 성폭행범으로서의 모습을 섞어놓은 모습이다. 물론 그의 ‘튀어나온’ 배는 안습이지만, 동시에 그가 가지고 있는 상스러움과 추악함의 결합이 그의 캐릭터를 더 강화시키는 인상이다. 온전한 ‘진상’의 완성이라 할까. <소름>에서의 문성근도 좀 결합된 느낌이다. 지명도 양평이고. 또 생각해보면 <추격자>의 하정우를 떠올려볼 수도 있는 일이다.

즉 김지운이 그려낸 세계 그 자체는 별로 새롭지 않은 오마주들의 연속이라 말할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이 영화가 특히 더 선명한 것은, 그 집합들이 한국에서 등장하는 ‘더럽고 치사하고 섬뜩한 상황’을 잘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공의 적="">에서 강철중의 눈과 입을 통해 보여지고 들리는 것들 뿐만 아니라, 예컨대 조두순을 떠올렸을 때 왜 그가 무서웠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공권력 바깥의 무서움에 대해서 다시금 볼 수 있다고 해야할까.

그렇다고 결론이 ‘공권력’의 통제로 가지는 않을 것이다. 바보도 아니고. 외려 계속 등장하는 관에 대한 냉소 한 가운데에서 다른 ‘감성’을 보기도 하는 건데. 그것들이 뭔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결국 ‘선량한 개인’의 위대한 복수밖에 없는 것일까. 계속 불편한 것은 이병헌을 통해 보여주여는 내러티브에 담겨있는 ‘가부장’. 즉 ‘정상가족’의 책임이자 의무를 가진 사내라는 세팅 바로 그것이었다. 하지만 외려 이걸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보여주었던 다른 방식의 ‘가족주의’와 엮어본다면 다른 이야기는 어떻게 될까 잠시 생각해보긴 했다. 그리고 한국의 ‘가족주의’가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 지를 키워드로 놓는다면 훨씬 더 많은 걸 볼 수 있을 거라는 생각도 잠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