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적’인 인권 교과서 – 앤드류 클래펌, 인권은 정치적이다(2010)

인권은 정치적이다 –  앤드류 클래펌 지음, 박용현 옮김/한겨레출판 # 해외에서 나오는 출판물을 영어 공부 목적으로 읽어본 사람들(‘영어 공부 목적’이 중요하다.) 중에 A Very Short Introduction 시리즈를 아는 사람들이 족히 있을 것이다....

2006년 해병대 순검 폐지 반대운동과 지금

# 2006년에 있었던 일. 망각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퍼 온다. 링크 1 – “순검폐지 및 명찰색상 변경 논란에 대한 해병대 입장” 링크 2 – “‘순검폐지’ 전역자들이 막았다”  링크 3 –...

[경향 – 기고] 죽음 부른 ‘올드보이식 군대’

원문 링크</p> </a>[#M_관련 글 더 보기|접기| 2009/11/06 – [헨드릭스의 문화읽기/문화연구의 시선] – 군대에 대해 여자가 물어볼 때의 남자의 대답은? 2009/11/06 – [헨드릭스의 문화읽기/문화연구의 시선] – 2학기 논문 계획 – 남성의...

신자유주의에 대한 꼬장꼬장한 해설. 그런데 부르디외 선생님, 번역 때문에 욕 보십니다! – 피에르 부르디외, 『맞불』(2004)

맞불 –  피에르 부르디외 지음, 현택수 옮김/동문선 # 가끔씩 번역 때문에 열받을 때가 많다. 일단 ‘사기’를 쳐서 유려하게 만드는 건 둘째 치고, 읽을 수는 있게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이 기본이다. 예전에 읽었던...

남자다움이라는 판타지 해체하기 – 남성성과 젠더(2011)

</p> 남성성과 젠더 –  권김현영 외 지음/자음과모음(이룸) 2010/12/24 – [헨드릭스의 문화읽기/문화연구의 시선] – 남자로-식별되는-남자men-identified-men로 여성주의 말하기 # 페미니즘을 처음 접했을 때의 난처함 중 하나는 바로 ‘남자’에 대한 이야기였다. 모든 여성주의자가 그런...

민족주의에서 탈피해야 식민지 시대를 볼 수 있다 – 윤해동, 식민지 근대의 패러독스, 2007

</p> 식민지 근대의 패러독스 –  윤해동 지음/휴머니스트 # 팔자가 드세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내 주위에는 ‘강성 민족주의자’가 많다. 그들은 크게 보아 세 부류 정도로 분류할 수 있을 것 같다. 먼저 ‘선량한’ 민족주의자....

문화기술지를 ‘쓰는’ 문제에 대해서: 저널리즘의 눈을 통해 본 문화기술지 ‘쓰기’

# 잠시 ‘기사’의 눈을 빌어 문화기술지에 대한 생각을 달리 배치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잘 쓰인 단신의 기사를 보면서 ‘충격’을 받을 때가 있다. 거기에는 어떠한 ‘미사여구’나 구조화된 설명도 없지만, 그...

15년 전의 청소년, 그리고 지금의 청소년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조한혜정 지음/또하나의문화 2009/04/14 – [헨드릭스의 책읽기] – 그래, 다시 마을이다! – 조한혜정, , 또 하나의 문화, 2007</a> 2009/08/27 – [헨드릭스의 책읽기] – 우정과 환대의...

한국 근대에서 ‘국민’의 출현 방식 – 당대비평 특별호, 탈영자들의 기념비(2003) 중에서

<IMG style="PADDING-BOTTOM: 0px; BORDER-RIGHT-WIDTH: 0px; MARGIN: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BORDER-TOP-WIDTH: 0px; BORDER-BOTTOM-WIDTH: 0px; BORDER-LEFT-WIDTH: 0px; PADDING-TOP: 0px" border=0 alt="" src="http://image.aladin.co.kr/product/40/98/cover/8984982407_1.gif"> <TD style="PADDING-BOTTOM: 0px; LINE-HEIGHT: 1.5em; MARGIN: 0px; PADDING-LEFT:...

박카스만 봐도 토악질 나오게 만드는 책 –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 (2011)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 –  한윤형.최태섭.김정근 지음/웅진지식하우스(웅진닷컴) # 근대 이후 한국은 전반적으로 ‘입지전’적인 경험을 으뜸으로 쳐주는 사회다. 정주영이 그랬고, 이명박이 그랬으며(따지고 보니 둘 다 현대 출신이구나), ‘노가다’를 하다가 서울대 법대에 들어가고, 사법고시에...